티스토리 뷰
너무 더워서 편의점에서 음료수를 구입했습니다. 차가운 사이다를 한 모금 들이키는데 진짜 행복했습니다. 그런데 문득 돈은 그냥 종이일 뿐인데, 이것을 주면 왜 사람들이 내가 필요한 어떤 것을 내 여줄까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대체 돈이 뭐길래 우린 돈을 벌고, 돈으로 물건을 살 수 있는 것인지 가볍게 같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돈은 심리적 상징입니다.
돈은 보이는 물질이라기보다는 사회의 약속이자 심리적 상징입니다. 돈은 분명 만져지는데, 보이는 물질이 아니라니 무슨 말인지 모르겠습니다. 태평양 한가운데에 야프(Yap)라는 작은 섬이 있습니다. 야프섬에서는 아주 오래전부터 돌이 돈으로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라이(Lai)라고 불리는 바위 돈은 크기가 클수록 가치가 컸고, 너무 큰 바위는 가지고 다니기 힘들었을 것입니다. 집을 사고판다고 생각해 봅시다. 엄청나게 큰 바위가 오고 가야 합니다. 이럴 땐 집을 거래한느 두 사람과 그들의 친구들이 모였습니다. 그리곤 라이와 집의 교환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하며 증서를 쓰고, 라이는 그냥 있던 자리에 놔두었다고 합니다.
야프섬의 큰 부자 중 한 사람은 라이를 배로 싣고 오다가, 파도에 배가 난파되어 바닷속에 라이를 가라앉히게 되었다고 하는데 라이는 사람들이 꺼낼 수 없는 바닷속 깊이 있지만, 야프섬사람들은 바닷속 라이의 가치를 인정해 줍니다. 바닷속 라이를 두고, 그 라이를 다른 사람에게 준다고 약속하면 집도 살 수 있는 것입니다.
2. 약속과 신뢰로 거래합니다.
보이지도 않은데, 저 바닷속에 라이가 있다고 생각하고 집을 내어준다고 의아할 수 있을 것입니다만, 사실 우리도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물건을 살 때 지폐를 내지 않고, 카드로 계산할 때가 많습니다. 그럼, 여러분의 은행 통장에서 숫자로 돈이 얼마나 빠져나갔다고 찍힐 뿐입니다. 진짜 지폐가 왔다 갔다 하진 않습니다. 큰 규모의 돈이 오가야 하는 것은 더 합니다. 집을 사고팔 때, 가방에 지폐를 가득 채워서 들고 오는 사람은 거의 볼 수 없습니다. 인터넷뱅킹으로 돈을 보내는 것은, 내 은행 통장에 있는 데이터를 다른 사람 통장으로 보내는 것입니다.
야프섬사람들이 A라는 사람이 소유했던 바닷속라이가 이제 B라는 사람 것이 되었다고 믿으면 그렇게 되는 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물론 지폐와 동전이 눈에 보이지만, 그 가치는 우리 사회가 약속하고 신뢰해서 생기기 때문에 돈은 심리적 상징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3. 인간이 세상을 지배하는 이유는?
세상의 모든 동물 중 유일하게 사람만이 이러한 심리적 상징을 만들 수 있습니다. 침팬지에게 바나나 1개와 1만 원권 지폐 중 고르라고 하면 뭘 고를까? 당연히 바나나를 고를 것입니다. 침팬지에게 이 녹색 지폐로 바나나 열개를 살 수 있어라고 얘기해 줘도 소용없습니다. 사람만이 유일하게 돈을 고를 수 있습니다. 사람들이 만든 심리적 상징 중 가장 성공한 것이 돈이라는 생각 합니다. 돈은 누구나 믿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모르는 사람들과도 협력할 수 있습니다. 큰 빌딩을 만든다고 생각해 봅시다. 많은 사람이 필요할 것입니다. 디자인 건축가, 구조설계 건축가, 시공에 필요한 인력 등등. 서로 다른 이해관계가 있는 사람들이 협력할 수 있는 것, 일하는 대가로 돈을 받기로 약속했기 때문입니다. 돈이 발명되고 돈을 중심으로 경제 활동을 하게 되었기에 인류가 세상을 지배하게 된 것이 아닐까 합니다.
같이 보면 좋을 포스팅
세금납부 - 돈 빌려주고 이자 받으면 세금 내야 할까?
친구에게 어느 정도의 돈을 빌려주고 그 돈에 대한 이자를 받기로 했습니다. 그런데 이 돈의 이자에 대해 세금을 내야 하는 것인지 궁금해졌습니다. 그렇다면 누가 얼마를 내야 하는 것인지 궁
money-ssalon.com
자녀가 받은 학자금 대출 - 세액공제 될까?
대한민국은 대부분의 고등학생이 대학교에 진학합니다. 그런데 학비가 만만치 않습니다. 특히 공립대가 아닌 사립대는 공립에 비해 2배 이상의 차이가 납니다. 그래서 많은 학부모들은 힘이 듭
money-ssalo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