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2024년 올여름은 정말 역대급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습니다. 폭염으로 너무 힘들었는데 신기하게도 이제는 언제 그렇게 더웠는지 기억도 가물가물해지는 추위가 본격적인 겨울입니다. 역시 사람은 적응의 동물인가 봅니다. 일교차가 커 건강에 신경 써야 하는데 특히 감염에 취약한 우리 아이들이 학교를 다니기 시작하면서 어떻게 조심해야 하고 예방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환절기 건강 관련 일러스트 이미지 < 출처 : 카카오페이 >
< 출처 : 카카오페이 >

 

 

1. 학생들은 학교에서 가장 많이 감염됩니다.

학생들은 밀폐된 실내 교실에서 가장 많이 시간을 보내기 때문에 학교에서 질병에 많이 감염됩니다.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3대 학교감염병은 독감, 결막염, 유행성이하선염이라고 합니다.

 

< 이런 증상이 있다면 의심해 봅니다. >

① 독감 : 나이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발열, 콧물, 인후통, 기침 등 다양한 증상으로 발현되며, 심하면 두통과 근육통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② 결막염 : 전 연령에서 발병하지만, 10세 전후가 특히 많이 감염됩니다. 눈에 이물감이 느껴지면서 눈곱이 심하게 낍니다. 눈이 충혈된다거나 부어오르고, 가려움을 계속 느껴서 자주 눈을 비비게 됩니다.
③ 유행성이하선염 : 흔히 볼거리라고도 하는데 4세~6세와 13세~18세에 발병률이 높습니다. 감염되면 열이 심하게 오르고, 한쪽 또는 양쪽 귀 밑 주변이 만지면 아프거나 부어오릅니다.


문제는 세 질병 모두 환절기에 많이 발생하는 전염성 질병이라는 점입니다. 여름에서 가을로 넘어가면서 건조한 날씨가 지속되고, 아침저녁으로 기온이 계속 바뀌어 면역력이 크게 약해졌을 때 학교에서 집단생활을 하면서 학생들은 전염되기 쉬운 환경에 노출되는 것입니다.

 

 

2. 예방만큼 치료도 중요합니다.

< 어떻게 예방할 수 있나요? >

① 매년 독감 예방접종 맞기
② 손소독제보다 흐르는 물로 손 씻기
③ 증상이 없어도 의심될 땐 등교하지 않기


그럼에도 아이가 학교에서 질병이 감염되어 돌아왔다면 병원에서 꼭 치료를 받는 게 좋습니다. 특히 결막염이나 유행성이하선염은 눈이나 귀 밑이 부어오르는 증상이 보여서 부모가 빨리 발견할 수 있지만 독감은 감염되었는지 몰라 제 때에 치료를 받지 못하거나, 가벽게 생각해 중증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심하면 폐렴같이 합병증 위험도 있어서 6개월~13세 어린이라면 지체하지 말고 병원에서 치료받는 것을 추천합니다. 그리고 지금처럼 호흡기 질환이 걱정되는 환절기라면 추가로 폐렴ㆍ천식도 조심하여야 합니다.


 같이 보면 좋을 포스팅 

 

육아휴직 중 국민연금 내야하나?

출산을 앞둔 직장인이 출산을 위해 육아휴직을 쓸 예정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휴직계를 내면 소득이 줄어들 것인데 국민연금을 내야 하는 것인지 궁금해졌습니다. 만약 내야 한다면 직장을 쉬

money-ssalon.com

 

아이가 태어나지 않는 세상이라면

우리나라 대한민국은 누구나 다 알다시피 5000년의 유구한 역사를 가지고 있는 한민족의 나라입니다. 어떠한 외세가 침략했어도 싸워 이겨 지켜낸 땅입니다. 그런데 이제는 외세의 침략이 아닌

money-ssalon.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