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직장을 다니고 있는 모든 직장인들은 서럽 한편에 꼭 하나씩 두는 것이 있을 것입니다. 저도 있었습니다. 그것은 바로 사표인데, 평생직장이라고 하는 회사는 공기업이거나 공무원 정도이지 않을까 합니다. 그래서 이직을 생각하게 되는데 내 연차에는 이직이 쉬울까라는 생각을 합니다. 언제가 좋을지 같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직 관련 일러스트 이미지 < 출처 : 카카오페이 >
< 출처 : 카카오페이 >

 

Q. 이직하기 가장 좋은 연차는 언제일까?
① 1년 ~2년 차   ② 3년 ~5년 차   ③ 6년 ~ 8년 차   ④ 10년 차 이상

 

1. 이직하기 좋은 연차는 3년 차?

경력직으로 선호하는 연차를 기업들이 정확하게 공개하는 것은 아니지만, 헤드헌팅 회사에서 가장 활발하게 채용하는 연차는 3년 ~ 5년 차라고 합니다. 일반 회사에서는 대리급 정도의 경력입니다.

 

채용플랫폼 사람인의 2021년 조사에 따르면, 대기업에서 채용하려는 경력직의 연차는 3년 차가 51%(복수응답)로 가장 많았고, 5년 차가 48%, 4년 차가 21%, 2년 차가 18% 순입니다.


기업이 경력직을 채용하는 것은 바로 실무에 투입할 수 있는 사람이 필요하기 때문인데 이 정도 연차가 되면 실무 능력을 갖췄다고 판단한 것입니다. 1년 ~2년 차의 경우 예전에는 한 회사에 너무 짧게 일하는 것을 좋지 않게 보는 분위기도 있었다고 하는데 최근에는 이직 주기가 빨라지면서 1년 ~2년 차가 더 좋은 회사에 중고신입으로 입사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7년 차 이상부터는 내가 맡은 분야의 전무가로 인정받고, 더 큰 책임을 지는 리더급 직책으로 이직하면서 연봉을 크게 높일 수 있는 시기로 꼽힙니다.

 

 

2. 이직하기 좋은 달이 따로 있다?

현실적으로 1년 중 가장 퇴사하기 좋은 달은 4월이라고 합니다. 이때 퇴사해야 퇴직금을 더 받기 때문!
퇴직금은 직전 3개월 동안의 1일 평균임금을 기준으로 산정하는데 일 년 중 일수가 가장 짧은 2월의 1일 평균임금이 가장 높습니다. 따라서 직전 3개월 안에 2월이 포함되는 시기에 퇴사해야 퇴직금을 좀 더 많이 받을 수 있습니다. 이와 별개로 인력 채용문이 가장 활짝 열리는 시기도 봄입니다. 기업들이 지난해 이탈한 인력과 올해 충원할 인력을 연초에 찾기 때문입니다.

 

마찬가지로 기본급에 더해 기타 수당이 나오는 회사라면, 수당을 가장 많이 받는 달로부터 3개월 내에 퇴직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2. 나는 몇 연차일까?

이직하기 좋은 시기를 알았다면 이제 내 연차에 맞는 전략을 세워야 하는데 연차 계산은 정확히 어떻게 하는 것인지 알려드립니다.

 

Q. 작년 8월에 취업해 올해 3월이 되었다면 1년 차일까, 2년 차일까?
A. 1년 차


우리말의 용례에 따르면 시간의 흐름을 뜻하는 연차에는 만의 개념을 적용해야 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입사 1년 차는 입사한 이후 만 1년이 되기 전까지의 기간을 의미합니다. 입사한 지 만 1년 ~ 2년 사이는 2년 차, 만 2년 ~ 3년 사이는 3년 차라고 말합니다. 가장 정확한 것은 국민연금 가입내영으로 경력을 확인하고 연차를 계산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같이 보면 좋을 포스팅 

 

연말정산 준비 - 12월에는 꼭 해야 할 4가지

13번째 월급이라 칭하는 연말정산 시기가 돌아왔습니다. 11월 15일부터 국세청 홈페이지에서 연말정산 미리 보기도 할 수 있다고 합니다. 환급을 받을 수 있을까? 혹시 더 토해내야 하는 것은 아

money-ssalon.com

 

운전면허 벌점, 쌓이면 어떨까?

운전할 때 중요한 것은 첫째도 둘째도 안전인데 운전자들이 안전하게 교통법규를 잘 지키도록 하기 위해 나라에서 벌점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벌점이 쌓이면 면허정지나 면허취소가 될

money-ssalon.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