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많은 사람들이 장을 보기 위해, 푸드코트를 가기 위해, 손쉽게 물건을 사기 위해 가는 곳은 대형마트, 편의점, 식당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요즘은 당연시 포인트가 있다고 생각을 하고 이 포인트를 적립하면 보너스가 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이용을 하는데 특히 큰 대형 회사들은 이 포인트로 영화를 보기도 하고 현금으로 바꿀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지금까지는 이 포인트가 1년 안에 다 써야 하는 약정이 있었는데 지금부터는 이 포인트에 대한 유효기간을 늘린다고 합니다. 유효기간이 늘어나면서 어떤 것들이 달라지는지 같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적립포인트 관련 일러스트 이미지 < 출처 : 카카오뱅크 >
< 출처 : 카카오뱅크 >

 

 

1. 자주 쓰는 포인트의 유효기간이 늘어납니다.

이전엔 적립한 포인트가 1년~3년이면 사라졌는데 이제는 사용 기간이 더 늘어나는데 포인트마다 달라집니다. 아래 포인트는 모두 2년에서 3년으로 늘어난다고 합니다. 모두 2026년에 적립포인트부터 유효기간이 바뀔 예정입니다. 지금까지 모은 포인트는 2025년 말까지 다 쓰는 것이 좋습니다.


① CJ ONE (빕스ㆍ계절밥상ㆍ뚜레쥬르ㆍ메가커피ㆍ올리브영ㆍCGV 등)

 

 

 


② 신세계포인트 (이마트ㆍ노브랜드ㆍ스타벅스ㆍG마켓ㆍSSG닷컴 등)

 

 

 


③ 마이홈플러스 (홈플러스 등)

 

 

 

 


④ 다이소멤버십 (다이소)

 

 

 

 


아래 포인트는 5년으로 연장됩니다.


① CU 멤버십 (CU 편의점) : 2025년 하반기부터 적용

 

 

 


② 스노우플랜 (롯데마트 오프라인) : 2025년 상반기부터 적용

 

 

 

 


③ 삼성패션 멤버십 (에잇세컨즈 등) : 2026년부터 적용

 

 

 



이밖에 해피포인트 (파리바게뜨ㆍ베스킨라빈스 등), 메가박스, 잇츠마일 등은 아직 연장 계획을 내놓지 않았습니다.

 

 

2. 포인트가 사라지면 알림도 받을 수 있습니다.

이전엔 포인트 소멸에 관해 이메일로 알려줬는데 이젠 소비자가 더 알기 쉽게 카카오톡 알림톡, 앱푸시 등으로 안내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알려주는 시점과 횟수 역시 바뀝니다. 기존엔 15일 전에 한 번 알려주던 걸, 두 달 전부터 세 번 알려주기로 합니다.


 같이 보면 좋을 포스팅 

 

이젠 병원갈때, 신분증 꼭 지참!

우리나라는 건강보험제도가 잘 되어있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흔히 초강대국이라 일컫는 미국이나 영국, 그리고 유럽보다 뛰어나다고 합니다. 그런데 정작 한국에 사는 우리는 잘 모르고 있는

money-ssalon.com

 

내 집 마련 - 결혼하면 기회가 많다?

어느 뉴스에서 본 내용은 몇 백 년 후에는 대한민국이 사라질 수도 모른다는 이야기와 지금은 고령화사회와 적어지는 아이들의 수를 말했습니다. 그래서 정부에서는 혼인률과 출산율을 높이기

money-ssalon.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