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중국과의 관계를 생각하면 예전 사드사건이 떠오르는데, 이 사드사건으로 인해 중국에서는 한국에 대해 특히 매체에 대한 금지령을 내렸습니다. 그 금지령이 한한령(한류 콘텐츠 금지령)인데 중국이 8년 만에 해제한다는 소식입니다. 이 8년 간 중국에서는 몰래몰래 내야 할 비용이나 요금 등을 내지 않고 우리나라의 콘텐츠를 보았습니다. 정말 웃긴 일입니다. 이 한한령 금지 해제에 대해 같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한한령 관련 일러스트 이미지 < 출처 : 카카오뱅크 >
< 출처 : 카카오뱅크 >

 

 

1. 공식 조치는 아니라고 합니다.

사실 중국 정부는 공식적으로 한한령을 인정한 적이 없습니다만, 지난 8년 동안 필수 심의 과정에서 K-콘텐츠에 부적격 판정을 내리며 사실상 유통을 차단했습니다. 이에 드라마, 영화, K팝 등을 중국으로 수출하기 어려웠습니다. 중국 내 K-콘텐츠 영향력이 줄어들며 반사이익을 얻은 화장품과 여행, 식품 업계도 직격탄을 맞았습니다. 그러했던 중국이 갑자기 5월부터 민간 차원의 문화 교류를 확대하겠다고 발표하며, 한한령 해제를 간접적으로 알렸습니다.

 

 

2. 한한령이 해제된 이유는?

가장 먼저 손꼽히는 이유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재집권입니다. 현재 미ㆍ중 사이에 정치ㆍ경제적 갈등이 고조되기 때문에 미국의 동맹국인 한국과의 관계를 개선하려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같은 맥락에서 작년 11월에는 중국이 1992년 한ㆍ중 수교 이후 처음으로 한국을 무비자 대상국에 포함하기도 했습니다. 중국 콘텐츠 산업의 자신감에서 비롯됐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2010년대 중반까지 중국에서 한국콘텐츠의 영향력은 막강했습니다. 그러다 중국은 한한령 시행 후 지난 8년 동안 자국 콘텐츠 시장에 적극적으로 투자했습니다. 이젠 중국 콘텐츠 시장 규모가 약 2,570조 원에 달할 정도인데 즉, 중국 정부는 한국 콘텐츠가 예전처럼 시장을 장악할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한 것입니다.
최근 중국 콘텐츠가 내수 시장에서 연이어 성공하기도 했는데 지난 춘절 연휴에 개봉한 애니메이션 너자2는 해외 개봉을 하기도 전에 관객 수 2억 명을 돌파하며 전 세계 애니메이션 흥행 1위를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8월 출시한 게임 검은 신화:오공도 출시 한 달 만에 1조 원이 넘는 수익을 냈습니다.

 

 

3. 수혜주에 관심이 쏠립니다.

한한령 해제 기대감에 국내 미디어주는 상승세를 탔습니다. 대표 수혜주로 꼽히는 종합 엔터테인먼트 C사의 주가는 전일 대비 7.83% 올랐고, (2/20 기준) 같은 날 드라마 제작사 S사도 전 거래일 대비 18.32% 올랐습니다. 한한령 해제로 중국에서도 한국 연예인의 방송 출연 및 콘서트 개최가 가능할 것으로 보이는데 이에 엔터주도 1년 내 최고가를 경신중입니다. 대표 연예계획사인 Y사와 S사는 각각 13.16%, 5.08% 상승했습니다.(2/20 기준)
화장품ㆍ여행ㆍ식품 업계의 기대감도 큽니다. 한한령 시행 이후 영업이익이 30% 가까이 감소했던 화장품 제조사 A사는 중국 시장 재정비와 안정화 전략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중국인 관광객과 K-콘텐츠 수요가 늘면서 여행이나 식품 업계도 수혜를 입을 수 있습니다.

 

 
 

< 오늘의 돋보기 요약 >

① 중국이 8년 만에 한한령을 해제합니다.
② 미ㆍ중 갈등이 커지자 주변국과의 관계를 개선하려는 것입니다.
③ 미디어와 엔터 업계 등 수혜 업종에 관심이 모입니다.


 같이 보면 좋을 포스팅 

 

중국생성형 AI - 전 세계 충격!

IT강국 하면 대한민국을 어느 나라에서든 이구동성으로 말합니다. 그런데 인공지능 쪽에서는 다른 나라에 비해 조용한 듯합니다. 특히 우리가 생각할 때 이해가 안 가는 나라 중국. 이 중국이 인

money-ssalon.com

 

월세 상승 - 전세 사기 후폭풍, 더 오를까?

몇 년 전에 전세 사기가 여기저기에서 터졌던 사건을 알고 계실 것입니다. 그래서 전세보다는 월세를 더 많이 생겨났습니다. 그런데 전세에 이어 월세 사기도 조금씩 늘어나고 있습니다. 올해

money-ssalon.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