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거운 연말이 지나고 나면 찾아오는 새해. 그냥 기다리고만 있는 건 시간낭비입니다. 작년과 달라지는 정부 지원제도를 알아보고 어떤 것들이 바뀌는지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더 나은 해를 위해 준비하는 것은 어떨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청년편 - 생활지원 2023년 2024년 대중교통 요금 할인 알뜰교통카드(~24.06) 청년 30%할인(일반 20%, 저소득 53%) 기술자격 시험 응시료 기존 없음 응시료50%할인(최대 3회/연) 기초ㆍ차상위 국가장학금 700만원~전액지원 전액지원 공동주택(분양/임대) 분양 : 5.3만호 / 임대 : 5.2만호 분양 : 6.7만호 / 임대 : 5.7만호 청년들을 위해 대중교통비뿐만 아니라 학업을 위한 지원 제도가 늘어났습니다. 특히 기술 자격시험 및 기초ㆍ차상위 국..

여성 직장인들이라면 너무나 많은 공감을 하시리라 생각합니다. 결혼 후 아이가 생기면 회사에서 눈치를 안 볼 수가 없게 되는데 그렇다고 아이를 안 낳으면 또 안 낳는다는 사회문제가 생기고 임신을 하면 눈치를 주고 어쩌라는 건지 참 안타깝습니다. 또한 대한민국 인구수는 점점 줄어들고 말입니다. 그래서 정부는 2024년 예산안이 나왔는데 출산가구 관련 예산이 기존 6조 9,000억 원에서 9조 원으로 확 올라 화제입니다. 아이를 낳을 경우 집을 더 쉽게 구할 수 있게 되는 건 물론, 육아휴직 기간과 지원금까지 확 늘어났습니다. 어떤 혜택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주택 구입 쉬워지고 육아휴직ㆍ지원금도 늘어납니다. 내년부터 신생아 특례가 시작되는데 2023년 이후 출생아부터, 출산 후 2년까지 적용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