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즘은 뭐든 다 오르는 것 같습니다. 물가도 금리도 모든 것이 다 오릅니다. 그 중에 보험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보험료 역시 생활비에서 큰 몫을 차지하고 있어 보험을 해지해야 할지 고민입니다. 그런데 이 보험이 없다면 가까운 미래에 큰 일이 생긴다면 이 보험이 있으면 좋은데 없다면 큰일입니다만 보험 해지는 힘듭니다. 그런데 이 보험료가 또 오른다는 말이 있습니다. 조금씩 조금씩 오르는 이 것을 어떻하면 좋을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실손보험료, 또 오른다 - 5년 내내 적자라서 실손보험이 적자라는 건, 소비자가 낸 보험료보다 보험금으로 나간 돈이 더 많다는 뜻인데 이 경우 보험사 입장에서는 손해가 계속 쌓이기 때문에 2024년에 보험료를 높여 받을 가능성이 큽니다..

국민건강보험이 있지만 각자 다른 보험들을 종류별로 가지고 계실 겁니다. 그리고 나이가 들수록 필요한 것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실손보험은 제2의 건강보험이라고 할 만큼 많은 분들이 가입한 보험입니다. 실제 발생한 치료비를 돌려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서 인기가 많습니다. 그런데 내년에 내야 하는 실손보험료가 작년에 이어 한차례 오를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왜 그런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100만 원 줄게, 160만 원 다오 실손보험은 가입시기에 따라 세대별로 나눌 수 있는데 이 중에서 약 1,000만 명이 가입한 3세대 실손보험의 적자가 심각한 상황입니다. 3세대 실손보험 손해율은 작년 131.4%에서 올 상반기에 156.6%까지 올랐다고 합니다. 지금 보험사에서 보험료로 100만 원 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