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말이 다가왔습니다. 누군가는 보너스를. 또 누군가는 벌금을 받을 수도 있겠습니다. 이렇게 말을 해도 모두 찰떡같이 알아들으시리라 생각합니다. 이젠 본론으로 13월의 월급이냐, 13월의 세금이냐, 그것이 문제입니다. 소득공제만 잘 활용해도 부담스러운 세금을 줄일 수 있습니다. 우리 가족은 어떤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완벽하게 정리했습니다. 같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소득공제가 뭘까? 소득세는 우리가 일 년 동안 받은 돈 전체가 아니라 과세표준을 기준으로 책정됩니다. 이 과세표준을 계산하기 위해서 전체 소득에서 일정 부분을 제외하는 걸 소득공제라고 부릅니다. 소득공제에는 근로소득공제, 인적공제, 특별 소득공제 등이 있습니다. 근로소득공제는 식대 등 일하는데 꼭 필요한 경비를 과세대상에서 제..

매해 연말이면 고민하는 연말정산, 지금 이 시점에 글을 올리고 있는 이유는 미리미리 자세히 공부하여 이번 연도에는 좀 쉽게 연말정산을 하고자 함입니다. 그리고 또 한 가지 세액공제를 많이 받고 싶은 분이라면 한 번쯤 더 고민해 봤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연금저축과 청약통장, 무엇이 더 유리할까? 생애주기 중 어느 단계에 있는가에 따라 다르다고 합니다. 공제받을 항목이 많다면 연금저축은 필요가 없습니다. 연금저축과 퇴직연금은 널리 알려진 세액 공제 상품입니다. 2023년 기준, 이 두 가지를 합쳐 연간 납입액 900만 원 한도에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공제 비율은 꽤 높으나 총급여가 5,500만 원이거나 종합소득이 4,500만 원 이하라면, 16.5% 이를 초과하면 13.2%입니다. → 예를 들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