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내 아이에게 목돈을 만들어주려고 계획 중입니다. 아이가 크면 들어갈 자금이 많으니 말입니다. 그런데 문제는 증여세인데 세금에 관련된 것은 너무 복잡해 이해가 잘 안 됩니다. 그래서 경제상담소에 상담을 해보았습니다. 아직도 딱 명쾌하진 않지만 그래도 한번 적어보겠습니다. 저 같은 분들도 있을 테니 말입니다. 같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이를 위한 목돈, 증여세 관련 이미지

 



1. 증여세를 줄일 수 있을까?

9살, 13살 아이를 둔 엄마입니다. 최근에 두 아이를 위해 적금에 가입했는데 아이들이 대학생이 될 때까지 꾸준히 모아서 목돈이 되면 주려고 합니다. 자녀의 명의로 주식에 투자하는 방법도 고려해보려고 합니다. 그런데 나중에 아이한테 돈을 주면 증여세를 내야 한다고 합니다. 증여세를 최대한 덜 내는 방법은 없을까?

 

 

 

 

 

 

2. 무조건 세금을 내는 건 아닙니다.

< 글 : 김현우(MBC라디오 <손경제상담소> 진행자>

ㆍ총증여액이 얼마인지 계산해 봅니다.
ㆍ액수가 크다면? 빨리 줍니다.
ㆍ주식을 사줄 땐 '유기정기금 제도'를 이용합니다.

 

 

 

3. 이럴 때는 세금을 내지 않습니다.

1) 첫째, 증여액이 일정 기준 이하일 때

자녀가 미성년자라면 2,000만 원, 성인이라면 5,000만 원까지 세금을 내지 않고 증여할 수 있습니다. 이걸 증여공제라고 하는데 자녀가 대학생이 됐을 때 증여한다고 하였으니 그전까지 다른 증여가 없다면 성인이 된 자녀에게 최대 5,000만 원까지 세금을 내지 않고 줄 수 있습니다.

2) 둘째, 자녀의 교육비, 양육비로 사용할 때

증여한 돈을 자녀의 교육비, 양육비 등으로 사용한다면 세금을 부과하지 않습니다. 만약 자녀가 대학생이 되었을 때 대학 등록금 수준의 돈을 이체하고, 그 돈을 실제로 대학 등록금으로 쓴다면 증여한 돈은 비과세 대상이 되는 겁니다. 따로 신고할 필요도 없습니다. 하지만 교육비나 양육비가 아닌 경우, 예를 들어 독립자금을 보태는 데 쓰기 위한 돈이라면 신고해야 합니다.

 

 

4. 증여액이 한도를 초과한다면? 최대한 일찍 줍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정해진 한도 내에서 증여한다면 세금을 내지 않아도 되니 걱정할 일이 없습니다. 문제는 증여액이 한도를 초과할 때인데, 만약 자녀에게 증여할 돈이 한도(미성년자 2,000만 원, 성인 5,000만 원) 보다 커진다면 최대한 일찍 주는 게 유리합니다.
예를 들면 자녀에게 줄 2,000만 원으로 재테크를 해서 6,000만 원을 나중에 자녀에게 주려면 하도를 초과한 부분에 대한 세금을 해야 합니다. 하지만 2,000만 원을 지금 증여한다면? 세금을 내지 않고 자녀 명의의 계좌에서 재테크를 할 수 있습니다. 즉, 자녀 명의의 계좌에서 늘어난 돈에 대해서는 세금을 부과하지 않습니다.

 

 

 

 

 

 

5. 매달 주식을 사는 건 어떨까?

나중에 목돈을 주는 대신 자녀 이름으로 주식을 사거나 자녀 명의로 적금에 가입하려는 분도 많은데 이런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금액이 쌓이면 증여세 공제 한도를 넘을 수 있습니다. 매달 신고하기도 번거롭고 이럴 땐 유기정기금 제도를 이용하면 좋습니다.
유기정기금 제도란 미래에 줄 돈을 미리 계산해 증여하겠다고 신고하는 겁니다. 미래에 증여할 돈을 현재 가치로 평가하고, 이를 과세 표준으로 설정한 뒤 세금을 매기기 때문에 절세 효과가 생깁니다. 세금을 아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번 해야 하는 신고를 한 번에 끝낼 수 있어 편리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과거에 고등학생 자녀에게 2,000만 원 이상을 증여했는데 자녀가 성인이 되었을 때 추가로 약 3,000만 원을 더 주고 싶다면 성인이 된 자녀가 받는 돈이 총 5,000만 원을 넘기 때문에 세금을 내야 하는데 유기정기금 제도를 이용하면 세금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매달 약 80만 원씩 3년간 증여하겠다고 미리 신고하는 겁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계산에 따라 1년이 지날 때마다 과세표준이 되는 증여액을 3%씩 할인받을 수 있습니다.

 

- 1년 차 : 80 x 12 = 960만 원(할인 없음)
- 2년 차 : 960 / (1.03) = 932만 원
- 3년 차 : 960 / (1.03^2) = 904만 원

- 합계 = 960 + 932 + 904 = 2,796만 원

 

즉, 실제로 자녀에게 주는 돈은 2,880만 원이지만, 2,796만 원에 대한 세금만 내는 겁니다. 더불어 3년간 매달 신고해야 하는 번거로움도 줄일 수 있어서 일거양득입니다.

 


 같이 보면 좋을 포스팅 

 

주말, 휴일에 문여는 약국, 병원찾기

새해가 되면 달력을 항상 체크를 하게 됩니다. 휴일이 며칠인지... 저만 그런가요? 이 글을 읽고 계신 여러분도 마찬가지라 생각합니다. 모든 직장인의 새해 루틴입니다. 그리고 혹시나 아이들이

money-ssalon.com

 

아이보다 반려동물, 딩크족보다 딩펫족이 늘어나

주변을 둘러보면 많은 반려견과 반려묘를 찾아볼수 있습니다. 그런데 매스컴에서 얘기하듯 저출산으로 인해 아이들은 많이 보지 못합니다. 제 주변에도 아이들이 많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hazzza.money-ssalon.com

 

수업 중 무단 이탈한 학생 지적, 아동학대일까?

약 10년 전만 해도 선생님의 위치는 지금과는 다른, 학생과 부모님의 존경을 받았었습니다. 그러나 현재에는 그렇지 않은 듯해 보입니다. 뉴스나 다른 미디어에서 왕왕 보게 되는 학교문제 이야

hazzza.money-ssalon.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