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끔 뉴스를 보면 어이없는 뉴스들을 보게 됩니다. 우리나라는 사회생활을 하면 첫째로 내 집 마련을 꿈꿉니다. 이런 일이 제일의 꿈인데 외국인의 내 집 마련이 어처구니없이 쉽다는 뉴스를 보게 됩니다. 특히 중국인들의 대한민국에서의 주택매매가 너무 쉬워서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분노를 금치 못하겠습니다. 이 내용을 한번 같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미국 청소년, 27억 아파트 구매? 외국인 규제 약하기 때문 ● 국내 주택을 소유한 외국인 수 ●외국인이 소유한 국내 주택 수 우리나라 집을 사들인 외국인이 단 6개월 사이 4.6%나 늘었습니다. 내국인은 대출금리가 올라 집을 사기 부담스러워졌는데 2023년 들어 외국인의 국내 부동산 투자는 오히려 활발해지는 모양새입니다...

포인트라는 것이 참 많습니다. 우리가 사용하는 신용카드마다 포인트가 있는데 특히 우리가 내는 세금에도 포인트를 받을 수 있는데 모르시는 분들이 더 많을 겁니다. 그래서 많은 세금포인트가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세금포인트는 세금 10만 원당 포인트가 1점씩 쌓입니다. 그 포인트로 제품이나 박물관 입장료 등을 할인받는 데 쓸 수 있습니다. 결론은 2022년까지 미사용 된 세금 포인트가 무려 9조 원 이상, 개인당 평균 23만 원이라고 합니다. 그럼 알아보고 내 포인트를 찾아봅시다. 1. 내 세금포인트는 얼마? 이렇게 확인합니다. 세금포인트 조회하기 국세청홈택스에 로그인한 후 상담ㆍ불복ㆍ고충ㆍ제보ㆍ기타의 기타 메뉴에서 세금포인트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 혜택을 누리는 방법과 세금 포인트 할인쇼핑몰로 ..

사업을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았거나 사정으로 사업을 하다 보면 매입도 없고 매출도 없을 때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도 세금신고는 해야 합니다. 그런데 문제는 부가가치세가 참 복잡하다는 겁니다. 그럼 저도 복잡하고 이해 안 되지만 차근차근 같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업자도 일반사업자와 간이사업자로 구분되어 있고, 그 구분에 따라 세금계산서 발행 여부, 세금의 납부 시기 및 세율, 적용되는 공제 항목 또한 다르며, 그 과세 흐름에 적응했더라도 매출에 따라 사업자 구분이 변경되기도 합니다. 부가가치세 납부 의무가 있는 개인사업자에는 세무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익숙지 않은 영세사업자 및 중소사업자가 많이 분포되어 있기에 국세청 상담 창구를 통한 부가가치세 관련 상담이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주택을 상속할 때 상속공제를 어떻게 받을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세통계포털에 따르면 상속세 결정금액 중 건물의 비중이 2019년 이후 증가하고 있으며, 2021년에는 다른 자산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은 금액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구분 2017 2018 2019 2020 2021 상속세 결정금액(토지)(백만원) 4,526,300 5,073,826 4,969,423 6,050,553 6,438,282 상속세 결정금액(건물)(백만원) 3,823,036 4,680,780 5,322,066 6,956,574 11,648,432 상속세 결정금액(유가증권)(백만원) 1,938,951 1,703,382 2,292,010 3,681,629 2,861,570 상속세 결정금액(금융자산)(백만원) 2,260,649..

누구나 알지만 누구나 모르는 상속·증여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저도 잘 몰라 찾아보다가 다 같이 알면 좋을 것 같아 포스팅을 해봅니다. 상속세와 증여세의 차이부터 먼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상속 · 증여세 알아보기 상속세 개요 1) 상속세란? 상속세는 사망으로 그 재산이 가족이나 친족 등에게 무상으로 이전되는 경우에 상속재산에 대하여 부과하는 세금을 말합니다. 2) 상속세 납세의무자는? ① 상속세 신고·납부의무가 있는 납세의무자에는 상속을 원인으로 재산을 물려받는 “상속인”과 유언이나 증여계약 후 증여자의 사망으로 재산을 취득하는 “수유자”가 있습니다. - 상속인이란 혈족인 법정상속인과 대습상속인, 사망자(피상속인)의 배우자 등을 말하며, 납세의무가 있는 상속포기자, 특별연고자도 포함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