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민국에서 무엇인가를 구매하려면 세금이 붙습니다. 물건의 가격에 10%의 부가가치세라는 세금이 붙습니다. 그런데 이런 세금이 붙지 않는 사업들이 있다고 합니다. 세금을 내지 않는 사업들을 일컬어 면세사업자라고 하는데 간략하게라도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면세사업자가 무엇일까? 부가가치세는 상품을 팔거나 서비스를 제공할 때 얻는 부가가치, 즉 이윤에 대해 과세하는 세금인데 보통 물건값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최종 소비자가 부담하게 됩니다. 부가가치세 알아보기 그런데 국민들이 보다 저렴하게 상품을 구입하거나 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부가세를 면세해 주는 상품과 서비스가 있습니다. 흰 우유, 쌀, 채소, 고기 등과 같은 식료품이나 각종 생활필수품, 의료, 문화, 공공 서비스 등이 대상입니..

여러분들 중 경품 이벤트에 당첨이 된 경험이 있으신가요? 기분좋은 일입니다. 공짜라 너무나 기분이 좋았습니다. 그런데 왜 돈을 내라고 하는 걸까요? 경품 이벤트를 자세히 보면 아래쪽에 유의 사항이 작게 쓰여 있습니다. 이때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문구가 있는데 바로 제세공과금은 본인 부담. 경품에 당첨됐는데 왜 내가 돈을 내야 하는 걸까요? 공짜라? 한번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제세공과금, 기타 소득이 생기면 내는 세금 제세공과금은 일반적으로 기타 소득이 생겼을 때 내는 세금을 말합니다. 기타 소득은 어쩌다가, 일시적으로 생기는 소득입니다. 불규칙적으로 강연을 하거나, 대회에서 상금을 탔거나, 자문을 해주었을 때 등등에서 생긴 수입입니다. 그리고 복권, 경품권, 추첨권 등에 당첨되어 얻는 ..

사업을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았거나 사정으로 사업을 하다 보면 매입도 없고 매출도 없을 때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도 세금신고는 해야 합니다. 그런데 문제는 부가가치세가 참 복잡하다는 겁니다. 그럼 저도 복잡하고 이해 안 되지만 차근차근 같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업자도 일반사업자와 간이사업자로 구분되어 있고, 그 구분에 따라 세금계산서 발행 여부, 세금의 납부 시기 및 세율, 적용되는 공제 항목 또한 다르며, 그 과세 흐름에 적응했더라도 매출에 따라 사업자 구분이 변경되기도 합니다. 부가가치세 납부 의무가 있는 개인사업자에는 세무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익숙지 않은 영세사업자 및 중소사업자가 많이 분포되어 있기에 국세청 상담 창구를 통한 부가가치세 관련 상담이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