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돈이 있지 않는 한 내 집 마련을 한 번에 할 수는 없습니다. 그렇다면 내 집을 마련하기 위해 청약을 들어야 하는데 만약 청약저축 통장에 240만 원을 한꺼번에 입금해도 연말정산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을지가 궁금해서 한번 알아보았습니다. 그 답은 청약저축. 즉 주택청약 종합저축, 새 집의 분양을 신청하기 위해서는 꼭 필요한 통장입니다. 나라에서는 청약저축을 권장하기 위해 연말정산 소득공제 혜택도 주고 있다고 합니다. 같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소득이 7,000만 원 이하인 근로자에 한해 연간 240만 원까지 주택청약을 납입하면 이중 40%를 소득에서 공제해 줍니다. 최대 96만 원이 과세 대상 소득에서 제외돼서 전체 세금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습니다. 1. 청약저축 납입을 깜빡했다면? 그런데 지금..

사회인이 되면 누구나 갖고 싶은 최종 목표가 생깁니다. 1순위가 집이라고 생각합니다. 거기에 여유가 생긴다면 자동차 정도 일 것입니다. 그래서 회사에 취직을 해서 월급을 받게 되면 처음 생각하고 고민하는 것이 청약통장을 만드는 일일 겁니다. 청약을 넣으면서 내 집마련의 꿈을 이루고 싶어서입니다. 그래서 최근 수도권 청약경쟁률이 떨어졌던데 지금이 당첨 기회인지, 위험한지 모르겠습니다. 넣고 보는 게 좋을지 같이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1. 청약 경쟁률 하락, 비싼 분양가 탓입니다. 2023년 4월 이후 서울의 1순위 청약 경쟁률은 50 대 1로 넘어섰고 7월에는 100 : 1을 넘길 정도로 청약 시장이 활기를 띠었습니다. 하지만 9월에 들어서면서 24.87대 1로 경..

누구나 내 집 마련을 위해 힘을 씁니다. 특히 목돈이 없는 소시민들은 청약적금을 만드는 것부터 시작합니다. 그런데 이번에 정부가 무주택 청년을 위해 또 다른 새로운 내 집 마련 정책을 내놨습니다. 청년우대형 청약통장의 조건을 완화하고, 청약에 당첨되면 반값 이자의 저금리 대출도 제공하기로 했습니다. 월세든 전세든 집세 걱정 없이 사는 세상이 왔으면 좋겠습니다. 그런데 이 정책은 청년들만 적용된다는 것을 명심하셔야 합니다. 1. 소득 문턱은 낮추고 이자는 더 많이 줍니다. 정부는 이번주 청년전용 주택전용 주택드림 청약통장을 출시한다고 발표했습니다. 기존에도 소득이 낮은 무주택 청년에게는 높은 금리를 주는 청년우대형 청약통장이 있는데, 이 제도를 확대 개편한 상품입니다. 청년전용 청약통장 가입조건 나이 : ..

매해 연말이면 고민하는 연말정산, 지금 이 시점에 글을 올리고 있는 이유는 미리미리 자세히 공부하여 이번 연도에는 좀 쉽게 연말정산을 하고자 함입니다. 그리고 또 한 가지 세액공제를 많이 받고 싶은 분이라면 한 번쯤 더 고민해 봤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연금저축과 청약통장, 무엇이 더 유리할까? 생애주기 중 어느 단계에 있는가에 따라 다르다고 합니다. 공제받을 항목이 많다면 연금저축은 필요가 없습니다. 연금저축과 퇴직연금은 널리 알려진 세액 공제 상품입니다. 2023년 기준, 이 두 가지를 합쳐 연간 납입액 900만 원 한도에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공제 비율은 꽤 높으나 총급여가 5,500만 원이거나 종합소득이 4,500만 원 이하라면, 16.5% 이를 초과하면 13.2%입니다. → 예를 들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