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전사람들은 기억하실 겁니다. 열심히 일한 당신 떠나라라는 카피를 쓰는 광고를 기억하실지 모르겠습니다. 이 포스팅을 쓰며 갑자기 생각난 카피입니다만 지금은 노후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100세 시대라고 하는데 언제까지 일을 해야 하는 것인지 일을 하고 싶어도 회사에서 밀려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노후를 생각하는 분들 중 퇴직연금을 일찌감치 들어둔 분들도 주위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 퇴직연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찾아가지 않은 퇴직연금, 1,100억 원 노후 소득에 대한 관심이 늘면서 퇴직금 대신 주목받기 시작한 퇴직연금. 기업이 매달 퇴직급여 재원을 금융회사에 맡기기 때문에 회사가 망하더라도 신청만 하면 돌려받을 수 있는데, 이를 모르는 근로자가 늘면서 수년째 찾..

젊었을 때는 노후생각을 안 할 시기입니다. 써야 할 것은 많지만 마냥 모자란 월급이었습니다. 그래서 적금은 제일 적은 금액을 들지만 연금은 직장에서 내는 국민연금 외에는 여타 다른 연금은 생각해보지 못했는데 이제 중년이 넘어서는 이 시점에 직장 선배들이 은퇴하는 걸 보면서 저도 얼마 남지 않았다는 걸 체감하고 있습니다. 퇴직금 외엔 준비된 것이 없어서 이제부터라도 연금 투자를 시작하려는데 늦진 않았을까? 한 달에 얼마나 넣어야 60세에 여유롭게 은퇴할 수 있을까?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연금 투자액, 은퇴 나이 따라 다릅니다. 매달 연금에 얼마를 넣어야 적절한지는 사람마다 다릅니다. 연금 투자를 시작하는 나이와 은퇴 나이, 월 지출액 등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다만 중요한 건 투자 기간입니다. ..

역시 유행은 돌고 도는 것 같습니다. 제가 대학생때 하고 다니던 패션들이 조금씩 변화되어 지금의 청년들에게 간간이 보이는 것을 보면 말입니다. 그래서 요즘 기본적이고 클래식한 스타일 올드머니룩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리고 패션 이외에도 대대손손 자산을 물려받은 사람들은 어떻게 투자하는지도 궁금해지기 시작했습니다. 올드머니가 아니어도 참고할 만한 투자법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올드머니는 대체로 사업가 집안입니다. 올드머니는 세대에 걸쳐 대대로 자산을 물려받은 상류층을 가리킵니다. 올드머니는 쉽게 표현하면 금수저라고도 합니다. 물론 상위 1% 부자가 아니더라도, 선대에서 이룬 부를 대물림받는 다면 올드머니라고 할 수 있는데 이들의 공통점은 사업으로 부를 일궜다는 겁니다. 유명한 인물로 미국의 패리스 ..

100세 시대를 알리고 있는 요즘 비혼과 동거 등의 새로운 형태의 삶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평생직장이란 말을 흔히 썼지만 지금은 워라밸을 즐기고 싶은 분들이 더 많이 생겼습니다. 하지만 걱정은 항상 있습니다. 100세 시대인 만큼 노후걱정을 안 할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올해 정부가 본격적으로 퇴직연금제도에 대해 개편을 시작합니다. 퇴직연금은 국민연금, 개인연금과 함께 3중 연금구조로 국민의 노후생활을 보장하는 게 목적인데, 도입 취지를 더 잘 살리기 위해 제도를 바꿨습니다. 1. 내 퇴직연금을 자동으로 굴려줍니다. 퇴직연금은 장기상품이기 때문에 안정적인 수익이 발생한다면 복리효과까지 더해져 나중에 우리가 찾을 수 있는 돈이 훨씬 커집니다. 하지만 국내 퇴직연금 수익률은 최근 5년간 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