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완전히 끝이 난 2023년 코로나 종식. 이 코로나 팬데믹때문에 일상이 많이 바뀌었습니다. 비대면은 물론이고 모든 것들이 조금씩 바뀌었고 그 중심에 금융ㆍ경제 분야에도 변화가 많았는데 올해 2023년도를 돌아보며 우리 일상에 영향을 준 주요 경제ㆍ금융에 관한 이슈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1. 물가, 드디어 잡히나? 올해 최대 관심사는 물가 상승입니다. 다행히 무섭게 치솟던 물가가 하반기 들어 주춤했는데 미국의 물가 상승률이 올해 여름 3%대로 내려왔습니다. 한국도 2%까지 줄었습니다. 2022년 여름과 비교하면 드디어 물가가 잡혔다고 볼 수 있는 상황인데 위험 요소가 전혀 없는 건 아닙니다. 설탕, 원유 같은 원자재 가격이 급등했고 가격은 유지하고 물량만 줄여 가격을 올리는 슈링크 플레이션 꼼수도 늘었습니..

2023년 작년 말에 인상됐던 수도권 지하철 기본요금이 새해가 된 지금 다시 한번 더 150원 오릅니다. 서울시는 인상 시점은 확정하기 어렵지만 올해 하반기에 추가 요금 인상은 분명하다고 밝혔는데 전문가들은 오는 7월부터 인상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지금 서울 지하철 기본요금은 1,250원에서 150원이 오른 1,400원인데, 한번 더 요금이 인상되면 1,550원입니다. 물가도 오르고 금리도 올라 생활이 힘든데 교통비까지 오른다니 정말 힘듭니다. 같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쏟아지는 대중교통 할인제도, 뭐가 다를까? 시민들의 교통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올해부터 다양한 교통비 할인 관련제도들이 운영될 예정입니다. 그런데 방식과 기준 등 제각각이라 나에게 필요한 제도가 뭔지 잘 살펴봐야 합니..

암에 걸렸을 때 병원비도 많이 듭니다. 그래서 보험을 들어둡니다. 그런데 자세히 알지 못하면 어떤 것으로 어떻게 들어야 하는지 참 난감합니다. 잘 못 들면 중요한 것은 빠지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갑상선암에 걸린 김보장씨, 암보험이 있어 당연히 보장받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지만 알고 보니 유사암 보장이 빠져있어서 도움을 받지 못했습니다. 이렇게 보험에 따라 보장받을 수 있는 암이 다르기 때문에 잘 확인해야 하니 자세히 알아보고 내 보험도 살펴보기 바랍니다. 1. 암은 어떻게 구분하나? 발병률, 위험도, 생존율 등을 기준으로 암의 종류를 크게 4가지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일반암, 유사암, 소액암, 고액암으로 나뉘는데 분류하는 기준은 각 보험사마다 조금씩 다릅니다. 그에 따라 지급 기준과 보장 범위도 달..

넷플릭스의 독주로 국내 OTT지장에 큰 파란을 일으켰는데 그런 넷플릭스를 막기 위해 국내 OTT업계의 두 회사가 일을 저질렀습니다. 지난 6일 토종 OTT 티빙과 웨이브가 합병계획을 알렸습니다. 티빙의 최대 주주 CJ ENM과 웨이브 SK스퀘어가 합병 양해각서를 체결했는데 토종 OTT 중 1, 2위를 다투는 둘이 손을 잡아 덩치를 키우면 OTT 업계를 흔들 수도 있습니다. 외제보단 국산을 응원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같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각박해진 OTT 시장 요즘 국내 OTT 업계 전반이 힘들었습니다. 압도적 1위인 넷플릭스를 빼면 전부 적자를 면치 못합니다. 사실 OTT 인기가 떨어진 건 아닙니다. 사용 시간은 지상파와 케이블을 누르면서 파죽지세로 늘어나고 있습니다. 문제는 사용자 수...

청년들에게 조금의 희망을 가질 수 있는 정부지원정책이 나왔습니다. 정부는 국회에서 청년 내 집 마련 주거지원 프로그램을 확정발표했습니다. 어렵지만 자산형성과 내 집마련의 꿈을 돕겠다고 한 것입니다. 누구나 사회에 나와 처음으로 하는 생각은 돈 모아 집을 사는 것이 제1의 꿈이기 때문입니다. 이번 프로젝트 정책으로 저금리로 많은 청년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며 같이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Q.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에 가입하면 연 2.2%로 주담대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서울에서도 집을 살 수 있을까? ① 네 ② 아니오 1. 나도 가입 가능할까? 주담대 조건부터 확인합니다. 2024년 2월부터 최대 연 4.5%의 이자를 주는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이 새롭게 나오는데 무주택자에 연 소득 5,000만 원 이하의 1..

목돈이 있지 않는 한 내 집 마련을 한 번에 할 수는 없습니다. 그렇다면 내 집을 마련하기 위해 청약을 들어야 하는데 만약 청약저축 통장에 240만 원을 한꺼번에 입금해도 연말정산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을지가 궁금해서 한번 알아보았습니다. 그 답은 청약저축. 즉 주택청약 종합저축, 새 집의 분양을 신청하기 위해서는 꼭 필요한 통장입니다. 나라에서는 청약저축을 권장하기 위해 연말정산 소득공제 혜택도 주고 있다고 합니다. 같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소득이 7,000만 원 이하인 근로자에 한해 연간 240만 원까지 주택청약을 납입하면 이중 40%를 소득에서 공제해 줍니다. 최대 96만 원이 과세 대상 소득에서 제외돼서 전체 세금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습니다. 1. 청약저축 납입을 깜빡했다면? 그런데 지금..

생일이나 기념일에 가끔 기프티콘을 주는 것이 일상이 되었습니다. 기념일에 너무 바빠 만나지 못해 선물을 전달할 수 없을 때 많은 사람들이 이 기프티콘 같은 쿠폰으로 선물을 합니다. 그리고 이 기프티콘으로 재테크를 하기도 합니다. 바로 기프테크인데 요즘 2030 사이에서 꽤 쏠쏠하다는 소문이 나고 있습니다. 쉽게 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어떻게 돈이 되나? 기프티콘 거래 플랫폼에서 판매자는 당분간 쓰지 않을 기프티콘을 팔고, 구매자는 필요한 기프티콘을 정가보다 싸게 살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6,900원짜리 스타벅스 기프티콘이 있는데 쓸 일이 없다면, 10% 정도 싸게 팔아 현금으로 바꿀 수 있고 당장 영화를 보러 간다면 시중보다 평균 20% 저렴한 값의 티켓 교환 쿠폰을 살 수 있습니다. ..

사회인이 되면 누구나 갖고 싶은 최종 목표가 생깁니다. 1순위가 집이라고 생각합니다. 거기에 여유가 생긴다면 자동차 정도 일 것입니다. 그래서 회사에 취직을 해서 월급을 받게 되면 처음 생각하고 고민하는 것이 청약통장을 만드는 일일 겁니다. 청약을 넣으면서 내 집마련의 꿈을 이루고 싶어서입니다. 그래서 최근 수도권 청약경쟁률이 떨어졌던데 지금이 당첨 기회인지, 위험한지 모르겠습니다. 넣고 보는 게 좋을지 같이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1. 청약 경쟁률 하락, 비싼 분양가 탓입니다. 2023년 4월 이후 서울의 1순위 청약 경쟁률은 50 대 1로 넘어섰고 7월에는 100 : 1을 넘길 정도로 청약 시장이 활기를 띠었습니다. 하지만 9월에 들어서면서 24.87대 1로 경..

코로나19로 비대면과 택배가 일상화가 되었는데 이 택배가 요즘 핫이슈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그래서 택배기사님들도 힘드실 겁니다. 전 쿠팡을 자주 이용해서 쿠팡이 편합니다. 그런데 제 형제는 지마켓을 많이 사용합니다. 이렇게 유통업계의 택배 경쟁이 치열합니다. 가장 치열한 전장은 이커머스. 일찌감치 오프라인 유통 매출을 넘어선 이커머스 시장은 커질 대로 커져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습니다. 이젠 새로운 땅을 개척하는 경쟁이 아니라, 서로의 땅을 빼앗아 늘리는 전쟁입니다. 1. 쿠팡은 왕이 될 수 있을까? 선두는 쿠팡과 네이버. 둘의 대결이 치열합니다. 서로의 고객을 빼앗아 점유율을 늘리려 전력을 다하는데 아직은 확실한 승자가 보이진 않습니다. 점유율 30%이면 승자라고 할 만 한데 아직 쿠팡과 네이버 모두 2..

피해가 발생했다면 경찰청(112), 금융감독원 콜센터(1332) 또는 금융회사 고객센터에 즉시 신고합니다. 보이스피싱과 스미싱은 날이 갈수록 수법이 교묘해지고 있고, 누가 당하나 싶지만 실제로 겪으면 멘붕이 온다고 합니다. 미리 알아두고 피해가 생기지 않게 조심합니다. 1. 카드 발급 사기 카드사나 금융사를 사칭한 스미싱 문자가 늘고 있습니다. 카드 발급은 물론 카드 접수, 카드 배송, 카드 해외결제 등 유형도 다양해졌습니다. 수법도 교묘해져서 2030도 많이 당하고 있습니다. 절대 문자 내 인터넷 주소(URL)를 클릭하거나 사칭 문자의 발신 번호 또는 상담번호로 회신하면 안 됩니다. 휴대폰에 악성 앱이 설치되어 개인정보를 빼낸 뒤 대형 범죄에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런 문자를 받았다면 바로 삭제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