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출퇴근길에서도 주식 가능 - 대체거래소 알아보자.

지난 3월 4일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NXT)가 문을 열었습니다. 지난 70년간 국내 증권거래소는 한국거래소(KRX)가 유일했는데 하나의 거래소가 더 생겼습니다. 투자자들에게 새로운 기회가 될 넥스트레이드(NXT) 이용 방법과 주의사항까지 같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하루 12시간 길어진 주식투자 기회평일 오후 3시 30분이었던 주식 시장 마감 시간은 바쁘게 일하는 시간이라 안타깝게 매수, 매도 타이밍을 놓치는 분들도 많습니다. 넥스트레이드(NXT)는 오전 8시부터 오후 8시까지 12시간 동안 거래가 가능합니다. 상대적으로 낮은 수수료로 비용 절감에 민감한 투자자들에게 유리할 수도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단타 투자자라면 수수료가 저렴한 넥스트레이드가, 유동성 규모가 중요한 큰손 투자자들은..

카테고리 없음 2025. 4. 23. 08:33
자동차 사고 - 블랙박스도 보상 받을 수 있을까?

자동차 사고. 사고가 나면 안 되겠지만 어쩔 수 없이 사고가 났다면 보험 관련이며 많은 것들을 알아야 해서 골치가 너무 아픕니다. 그런데 그중 제일 단순한 고민이 생겨났습니다. 자동차를 사게 되면 꼭 처음 설치하는 것이 있습니다. 하나는 내비게이션이고, 또 하나는 블랙박스입니다. 그래서 차사고가 났을 때 이 것들에 대한 것도 보상을 받을 수 있는지가 궁금해졌는데 블랙박스는 보상대상이 된다고 합니다. 다만 오래된 것은 보상받지 못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 같이 한번 더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Q. 자동차 사고 나면 블랙박스도 보상받을 수 있다?① O ② X 보상 더 알아보기 같이 보면 좋을 포스팅 사망보험금 - 연금처럼 받아 보자 !뉴스에서 보는 사건사고들 중에 제일 큰 것은 보험금 때..

카테고리 없음 2025. 4. 22. 09:00
사망보험금 - 연금처럼 받아 보자 !

뉴스에서 보는 사건사고들 중에 제일 큰 것은 보험금 때문에 일어나는 사건들입니다. 특히 사망보험금을 노리는 범죄가 일어나기도 하는데 이러한 사건들이 아니라면 남게 되는 가족들을 위해서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사망보험금 유동화가 시행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이것은 사망보험금은 내가 살아있는 생전에는 사용할 수 없는 보험입니다. 그런데 이 제도가 바뀌면서 더 많은 고령층이 안정적으로 노후를 대비할 수도 있게 되었습니다. 어떠한지 같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사망보험금 유동화란 무엇일까?사후에 받을 수 있던 사망보험금을 생전에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사망보험금의 최대 90%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연금형과 서비스형 두 가지 방식으로 신청할 수 ..

카테고리 없음 2025. 4. 21. 08:38
사딸라 - 김두한이 외치다!

드라마 야인시대를 기억하실 것입니다. 이 드라마 속 김두한은 외 사딸라를 외쳤을까? 이 야인시대의 시대상은 6.25 전쟁 시입니다. 그리고 당시 미국의 군수품을 운반하던 노동자들의 임금을 협상하는 상황입니다. 김두한은 일당을 기존 1달러에서 4달러로 올려달라고 말하는 장면에서 사딸라를 외치게 된 것입니다. 지금은 얼마 안 되는 돈이지만 그 당시에는 굉장히 파격적인 금액의 요구에 난감해하는 미군의 입장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결론은 김두한에 진 미군은 일당을 4달러로 올려준다는 내용입니다. 그 당시 1인당 국내총생산(GDP)으로 가늠해 보면 국가 생활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어떠한 내용인지 자세히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ㆍ미국 : 2,449달러 ㆍ한국 : 66달러 1. 실질 구매력으로 ..

카테고리 없음 2025. 4. 18. 09:35
테리픽10 등장 - 나스닥 가고 중국 증시가 뜬다.

전 세계에서 자금이 중국으로 몰리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중국판 나스닥으로 불리는 홍콩 항셍테크지수가 올해만 37% 급등했습니다. 미국의 나스닥 지수가 약 10% 떨어진 것과는 대조적인데 어떻게 중국으로 몰리고 있는지 같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중국 기술주가 대세를 이끌어홍콩지수 급등을 이끈 것은 기술주, 그중에서도 테리픽 10의 영향이 큽니다. 중국판 M7이라 불리는 테리픽 10은 이름부터 주가 상승이 엄청난(terrific)이란 뜻을 담고 있습니다. 주가가 강세를 보이는 중국의 10개 IT 기업을 가리키는 신조어인데 샤오미, BYD, SMIC, 알리바바, 텐센트 등이 있습니다. 테리픽 10을 중심으로 구성된 국내 185개의 중국 펀드의 6개월간 수익률은 평균 44%. 같은 기간 수익률..

카테고리 없음 2025. 4. 17. 08:58
국민연금 개혁, 드디어 여야 합의

현재 대한민국은 어디라고 딱 꼬집어 말하지 않아도 모든 곳에서 어지럽습니다. 입 밖으로 내기 힘들 정도로 불안합니다. 그런데 그중에도 한 가지는 여당과 야당이 합의를 봤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합의한 건은 국민연금의 보험료율과 소득대체율 개혁 방안에 합의를 한 것입니다. 지지부진했던 논의가 이제는 결정을 내린 것입니다. 그렇게 힘들어했던 개혁 방안에 대해 같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보험료율은 13%로 오릅니다.국민연금 개혁의 핵심은 청년층이 줄고 은퇴자는 느는 상황에서 기금 고갈을 막는 것인데 보험료율을 높여 더 걷고 수령액은 전보다 조금 나눠주는 방향입니다. 여야는 보험료율을 9%에서 13%로 올리기로 했습니다. 이전엔 월급의 9%를 국민연금 보험료로 냈는데, 이제는 13%를 냅니다...

카테고리 없음 2025. 4. 16. 09:20
금 투자 - 요즘 핫한 3가지 방법

안전자산이라고 말하는 것 중 하나는 금입니다. 이 금이 요즘 시세는 천정부지로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투자를 위해 금 투자에 열을 올리는 실정입니다. 어떤 환경인지 모르지만 갑자기 금값이 왜 자꾸 상승하는지에 대해 같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핫한 금 투자 - 3가지로 시작해 보자.최근 팁시크 쇼크부터 미국의 관세 위협까지 이어지면서 글로벌 증시가 아주 시끌시끌합니다. 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글로벌 주식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많은 투자자들이 주목하는 자산이 있는데, 바로 금입니다. 지난해 11월 ~ 12월 미국 대선 직후 금값은 잠시 주춤하는 듯했습니다. 하지만 트럼프 2.0 시대가 시작되면서 금은 정책 불확실성과 인플레이션 우려와 같은 지정학적 리스크에 대응하는..

카테고리 없음 2025. 4. 15. 09:10
명목소득과 실질소득의 차이는 뭘까?

월급이 올랐다. 기분 좋은 소식입니다. 그런데 월급이 올랐다는 느낌이 없다면 무엇이 문제일지 생각해 보게 됩니다. 우선 금리는 물론 물가도 올라서 그 오른 정도가 큰 차이가 나지 않는 이상은 별 느낌은 없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전문적으로는 명목소득과 실질소득의 차이가 커서 그런다고 하는데 그 이야기가 어떤 내용인지 같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통장에 찍힌 금액은 명목소득입니다.명목소득은 내가 번 돈의 액수 그대로를 말합니다. 내 통장에 300만 원의 월급이 들어왔다면 이번 달 명목소득은 300만 원입니다. 내 월급이 300만 원에서 330만 원으로 올랐다면 명목소득은 10% 증가한 것입니다. 2. 물가가 반영된 금액은 실질소득입니다.소득 변화가 실제로 내 경제생활에 어떤 영향을 주는..

카테고리 없음 2025. 4. 14. 09:00
주택담보대출 - 세대원 정보제공 동의

▶주택담보대출을 위해서 세대원의 정보와 동의가 필요합니다.① 대출을 받으려면 본인 외에도, 내가 속한 세대의 세대원들의 주택수가 대출진행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② 예를 들어 본인이 무주택자이더라도, 주민등록등본상 배우자가 두 채의 주택을 소유했다면 대출진행 여부 및 한도와 금리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③ 이런 이유로, 은행에서는 은행법 규정에 따라 대출실행에 앞서 세대원들의 주택수를 조회해야 합니다. ④ 주택수 조회를 위해 각 세대원의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를 수집하고, 동의를 받고 있습니다.   ▶세대원은 어떻게 동의해야 할까?① 배우자는 본인명의 휴대폰에 설치된 카카오뱅크 앱을 통해서만 정보제공 동의를 할 수 있습니다. ② 배우자가 아닌 세대원은 카카오뱅크 앱은 물론, 본인명의 휴대폰이 없더라도 본..

카테고리 없음 2025. 4. 11. 14:15
소액생계비 대출 - 나라에서 100만 원을 빌려준다.

정부에서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생활비 100만 원을 빌려주는 제도가 있습니다. 소액생계비 대출이라는 제도인데 올해는 이 제도의 공급 규모가 작년 대비 2배가 늘어났다고 합니다. 이런 것을 보면 많은 분들이 힘들어지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언제쯤 나라가 안정화되어 물가도 금리도 안정될지 참 걱정입니다. 아무튼 소액생계비 대출에 대해 같이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올해 정책금융 12조 공급정부는 올해 정책서민금융 지원 규모를 원래 계획이었던 10조 8,000억 원에서 11조 8,000억 원으로 1조 원 늘리기로 했습니다. 역대 최대 규모인데 코로나19 기간 동안 늘어난 빚을 연착륙하는 과정에서 서민들의 이자부담이 늘어났고, 제2금융권에서도 위험 관리를 위해 신용대출의 취급 규모를 줄이면서 민간에..

카테고리 없음 2025. 4. 11. 09:24
이전 1 2 3 4 5 6 7 ··· 42 다음
이전 다음

티스토리툴바

이메일: help@abaeksite.com | 운영자 : 아로스
제작 : 아로스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주)아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