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곳곳에 호우 주의보가 내려졌습니다. 부산 일대에는 정전이 일어났고, 서울 강남 신축 아파트가 물에 잠기는 일도 있었습니다. 올해 집중호우로 벌써 350대 이상의 차량이 침수됐고, 역대급 폭우로 2만 대가 침수됐던 작년 여름을 떠올리며 많은 분들이 걱정하고 있습니다. 내 차, 침수되면 어떡하나? 자동차에 물이 들어가면 부품이 부식되고 쉽게 고장이 납니다. 이때 자동차보험의 자기 차량손해 담보에 가입했다면 자동차를 침수 전 상태로 원상 복구하는 데 들어가는 수리 비용을 보상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수리가 불가능한 상태이거나 보험가액보다 수리비가 더 많이 나오는 경우에는 전손 처리를 하고 차량을 폐차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침수차 보상 알아보기 어떤 경우에 보상받을 수 있나? 이런 경우는 보상을 받을 수..

사업을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았거나 사정으로 사업을 하다 보면 매입도 없고 매출도 없을 때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래도 세금신고는 해야 합니다. 그런데 문제는 부가가치세가 참 복잡하다는 겁니다. 그럼 저도 복잡하고 이해 안 되지만 차근차근 같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업자도 일반사업자와 간이사업자로 구분되어 있고, 그 구분에 따라 세금계산서 발행 여부, 세금의 납부 시기 및 세율, 적용되는 공제 항목 또한 다르며, 그 과세 흐름에 적응했더라도 매출에 따라 사업자 구분이 변경되기도 합니다. 부가가치세 납부 의무가 있는 개인사업자에는 세무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익숙지 않은 영세사업자 및 중소사업자가 많이 분포되어 있기에 국세청 상담 창구를 통한 부가가치세 관련 상담이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집 다음으로 구입하는 것은 내 차일 것입니다. 그러나 집과 마찬가지로 차 구입도 만만치 않은 목돈이 들어갑니다. 그래서 차를 살 때 가장 고민되는 건 바로 가격입니다. 저렴한 경차도 있고 고가의 세단이나 외제차도 있으나 그래도 고가이다 보니 1%만 할인받아도 가격차가 수십만 원에 달합니다. 그렇게 때문에 캐시백을 최대한 많이 받는 것이 유리한데, 오늘은 신차 살 때 똑똑하게 혜택 받는 법을 같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신차를 사는 네 가지 방법 신차를 구매할 때는 보통 네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오토 할부와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어서 신용점수가 좋은 편이라면 카드 일시불이나 할부를 많이 선택합니다. 종류 장점 단점 카드 일시불 캐시백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일시불로 낼 현금이 있어야 합니다. 카드 할부..

이번 생에 내 집 마련의 꿈, 이루고 싶습니다. 다음 달 적금이 만기 되면 총자산이 딱 1억이 됩니다. '1억 도 없으면서 무슨 재테크냐', '1억까지는 무조건 저축해야 한다'는 말만 듣고 사회초년생 때부터 지금까지 열심히 모으기만 했습니다. 1억을 다 모으니 이걸 불리고 싶은 욕심이 생깁니다. 계속 예적금만 하면 왠지 손해 보는 것 같기도 하고, 재테크 잘해서 내 집을 마련하고 싶은데 1억으로 어떻게 투자하는 것이 좋을까? 다 같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억으로 내 집마련 프로젝트 1) 예비 자가구입 님의 머니 파일 - 직업 : 직장인 - 나이 : 33세 - 총 경제활동 기간 : 10년 - 소득 형태 : 근로소득(월급) - 연 소득 : 6,500만 원(세전) - 월 소득 : 440만 원 - 주거 형태..

매해 연말이면 고민하는 연말정산, 지금 이 시점에 글을 올리고 있는 이유는 미리미리 자세히 공부하여 이번 연도에는 좀 쉽게 연말정산을 하고자 함입니다. 그리고 또 한 가지 세액공제를 많이 받고 싶은 분이라면 한 번쯤 더 고민해 봤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연금저축과 청약통장, 무엇이 더 유리할까? 생애주기 중 어느 단계에 있는가에 따라 다르다고 합니다. 공제받을 항목이 많다면 연금저축은 필요가 없습니다. 연금저축과 퇴직연금은 널리 알려진 세액 공제 상품입니다. 2023년 기준, 이 두 가지를 합쳐 연간 납입액 900만 원 한도에서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공제 비율은 꽤 높으나 총급여가 5,500만 원이거나 종합소득이 4,500만 원 이하라면, 16.5% 이를 초과하면 13.2%입니다. → 예를 들어 ..

매년 5월과 7월이 사장님들의 종합소득세 신고로 바쁜 달이라면, 연말은 직장인에게 걱정과 기대, 고민이 교차하는 시기입니다. 왜냐하면 연말정산 때문입니다. 매년 매해 연말에 신고를 하지만 할 때마다 애매하고 고민되는 이 세금 때문에 골치가 아프기 때문입니다. 이 글을 쓰는 저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지난해에는 소득이 높아져 뱉어낸 분들도 있고, 생각지 않게 환급금을 받은 분들도 계실 테고 돈은 엄청나게 썼는데 환급액은 적네라고 한 분도 있을 겁니다. 올해는 미리 준비해 꼭 환급받으시라 이렇게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연말정산, 소득공제 & 세액공제 매해 아리송한 연말정산 소득공제, 세액공제만 기억합니다. 매년 해도 늘 애매한 연말정산, 늘 초심자의 마음으로 임하게 됩니다. 아래 초보자를 위한 필수팁을 기본개념..

국세통계포털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21년 사이, 원천세 신고 건수 및 세액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원천세는 원천징수 의무자가 소득자로부터 세금을 미리 징수해 국가에 납부하는 제도로, 해당 과세 소득에 대한 원천징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원천징수 의무자가 납부하지 않은 세액에 대한 가산세를 부담해야 하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오늘은 2023 중소사업자·근로자·영세납세자를 위한 원천세에 관해 납세자들이 자주 묻는 상담사례 6가지를 선정해 그 적용 법령과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Q1. 원천세를 반기별로 납부하고 싶습니다. 요건과 신청 방법을 알려주세요. A. 원천징수 신고·납부 편의를 위해 직전연도(신규 사업자는 신청일이 속하는 반기) 상시고용 인원이 20명 이하인 사업자(금융 보험업 제외)..

직장인들이 좋아하는 달, 13월. 13월의 보너스, 연말정산 시즌이 곧 돌아옵니다. 여러 절차와 복잡한 계산으로 어렵게 느껴졌던 연말정산이 올해는 한결 수월해집니다. 연말정산 간소화서비스가 2023년 연초에 바뀌었기 때문입니다. 바뀐 연말정산을 꼼꼼하게 대비하는 방법을 알아보고, 항상 하는 일이지만 할 때마다 어렵습니다. 같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간소화 자료 일괄제공 서비스가 도입됩니다 올해부터 국세청이 간소화 자료를 회사에 직접 일괄 제공하는 서비스가 도입됩니다. 근로자가 미리 이 서비스를 신청하고 정보 제공에 동의하면, 국세청이 회사에 간소화 자료를 제공하는 방식입니다. 따로 자료를 출력해 회사에 낼 필요가 없습니다. 근로자가 이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2022년 1월 14일까지 회사에 간소화 자료 ..

2023년 에너지 바우처 사업의 신청 및 접수가 5월 31일부터 진행된다고 합니다. 저소득층 에너지 바우처 제도란 취약계층이 전기나 도시가스 요금 및 지역난방, 등유, 연탄, LPG 등을 구입할 수 있도록 바우처를 제공하는 정부 지원 제도입니다. 발급 대상자는 전기, 도시가스, 지역난방 고지서의 이용금액을 차감하거나 국민행복카드를 발급받아 세대 당 평균 19만 5천 원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2023년부터는 취약계층 바우처 금액이 50% 인상된다고 하니 자격 조건 및 신청방법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에너지바우처 지원대상 1) 에너지바우처 주요 내용 ① 신청기간 2023년 05월 31일 ~ 2023년 12월 29일 ② 신청방법 - 방문신청 : 주민등록상 거주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내 집 마련 꿈꾸는 분들은 주목하시길. 8월부터 생애최초 주택구입자의 대출한도가 늘어납니다. 집을 현금으로 사는 사람은 거의 없기 때문에 집 살 때 제일 중요한 건 대출한도입니다. 한도가 커지면 내 집 마련의 선택지도 늘어납니다. 주택구입 부담을 덜기 위한 내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자세히 같이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집도 '첫 구매 혜택'이 있습니다. 태어나서 처음으로 집을 사는 경우에는 생애 최초 주택구입자로 여러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경우, 투기지역/투기과열지구의 LTV(주택담보인정비율)는 40%, 조정대상지역은 50%로 제한합니다. 5억 원짜리 집을 살 때 대출을 최대 2억 5천만 원까지만 받을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최근 정부에서는 생애최초에 한해 LTV를 80%로 높이기로 했습니..